반응형

 

 

내일 2월 1일은 우리나라 고유 명절인 설날입니다.
설날이란 음력 정월 초하룻날, 즉 음력 1월 1일을 말합니다.
묵은 한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명절인 설과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고 선조들을 위한 제사를 지냅니다.

명절 차례와 제사에 필수적인 제사 지내는 순서와 날짜,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상 음식 위치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차례상 차림


차례는 차를 올리면서 드리는 간략한 예를 뜻합니다.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정성껏 준비하는 상차림은 기본입니다.
설 차례상은 방향에 관계없이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면 되는데, 예절의 동서남북이라 하여 지방이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합니다.

그리고 제사 지내는 사람의 편에서 제사상을 바라보았을 때 지방(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입니다.

지방을 북쪽에 놓는 것은 북쪽이 음양오행설의 오행 가운데 수를 뜻하고 가장 높은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조상을 높이 받들겠다는 뜻입니다.

 

반응형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 음식을 제수 라고 하며 제수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각양각색입니다. 오늘은 다수가 차리는 제사 음식을 가지고 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을 신위라고 부릅니다. 밥, 국, 숭늉 들은 신위대로 준비합니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이나 송편이 대신합니다.


밥은 그릇에 담아 뚜껑을 덮고, 국은 쇠고기 뭇국을 주로 쓰고 덮게를 덮습니다.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풉니다.

신위 수와 무관한 것으로는 술, 식초, 간장, 떡, 찌개, 부침개, 구이, 포, 식혜, 나물, 김치, 과자, 과일 등이 있습니다.

제사상은 보통 5열로 차립니다.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하여 1열에는 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고 4열은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유, 5열에는 과일, 과자, 후식 등이 올라갑니다.

 

제사 지내는 시간


기제사는 전통적으로 조상이 돌아가신 날의 첫 새벽(0시)에 지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렇게 되면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 지는 경우가 있어, 보통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곤 합니다.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storyWhaleSkin3.4">